저기요, TV 화면은 왜 구부렸나요?

CES라는 이름 자체가 ‘가전 쇼’라는 의미다. 가전 중에서도 직접적인 기술 변화가 두드러지는 분야가 바로 디스플레이다. HDTV, 3DTV 등 그 동안 디스플레이의 발전 자체가 CES를 통해 이뤄져 왔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기술의 발전이야 뭐가 됐든 고마운 일이다. 특히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해상도는 다다익선이다. 클수록, 높을수록 좋다. 하지만 극에 달한 디스플레이의 발전과 함께 걱정되는 부분들이 있다.

성큼 다가온 UHD 디스플레이

올해 CES의 가장 큰 볼거리 중 하나가 UHDTV다. '4k TV'라고도 부른다. 가로 해상도가 4000픽셀에 육박하는 해상도를 일컫는다. 보통은 가로폭에 3840개의 픽셀을 집어넣는, 이른바 고해상도 TV다. 우리가 흔히 구입하는 풀HDTV보다 4배 더 많은 픽셀로 화면을 표현한다.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가져온 변화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더 크게 만드는 것이 경쟁력이었던 TV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해상도 전쟁이 열렸다. 지난해에도 UHDTV는 주목을 받았지만, 아직 이 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우리 곁에 오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TV 1대에 수천만원씩 나가는 가격은 대부분 사람에겐 그림의 떡일 뿐이었으니까.

LGD_CES_UHDTV

올해는 현실적으로 눈높이를 낮춘 제품들이 선보였다. 폴라로이드는 50인치 4k TV를 999달러에 내놓았고, 델도 28인치 4k 모니터를 699달러에 선보였다. 풀HD 디스플레이에 비하면 비싸지만, 이제 눈 한 번 질끈 감으면 도전해볼 수도 있는 가격까지 내려왔다. 이제 얼마나 싸게 만드느냐가 경쟁의 주요 포인트가 됐다.

기술자랑은 다른쪽에서 맡는다. OLED와 커브드(휜) 디스플레이다. OLED TV는 LCD에 가려 있었지만, 수년 동안 CES의 단골손님이었다. 2007년 11인치에서 시작한 OLED는 당시 대형화가 쉽지 않다는 예상을 깨고 이제는 UHD 해상도에 LCD 수준의 대형화도 이뤄냈다. 더 크고 밝은 디스플레이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린 것이다.

높아진 해상도는 뭘로 채우나

문제는 이 해상도를 채우는 일이다. 현재 HD방송에 비해 물리적으로 4배 많은 픽셀을 동시에 전송해야 한다. HD방송의 경우 공중파 전송 포맷과 함께 디스플레이가 나왔지만, UHD는 아직 전파를 통한 방송 송신 계획이 불투명하다. 현재 UHD방송 전송은 몇 가지 안이 나와 있지만, HEVC 코덱으로 자리잡는 분위기다. 이 코덱은 압축률이 높다고는 하지만, 정보가 4배로 늘어나는 만큼 전송이 만만치 않다.

현재 HD방송도 전송률이 넉넉하지 않아 화면이 빨리 움직이면 깨지는 부분이 생기는데 UHD를 이대로 전송하긴 어렵다. 더 많은 대역폭을 써야 하는데 주파수를 더 할당하는 것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오히려 세계적인 흐름은 위성이나 케이블, IP망 등을 이용하는 쪽으로 쏠리고 있다. 자칫하면 오버스펙으로 분류돼 일부 마니아들을 위한 전유물이 될 수도 있다. 비슷한 사례가 있다. 3년 전만 해도 제조사들사이에 험한 소리까지 오가며 치열한 경쟁을 했던 3DTV다.

SEC_CES_UHDTV

콘텐츠도 마찬가지다. 블루레이는 4k 콘텐츠를 채우기에 부족하다. UHD 미디어 자체도 스트리밍과 주문형 콘텐츠 방식으로 제공되는 분위기인데, 관련 인프라가 별로 없다. 콘텐츠를 찍고 편집하기는 만만찮은데, 수요도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모니터도 마찬가지다. 현재 그래픽카드가 4k 해상도를 제대로 뿌려낼 수 있을지가 문제다. 일반적인 그래픽카드는 2560×1600 정도의 해상도를 낸다. 3840×2160 급의 4k 해상도를 내려면 HDMI 1.4나 DP 1.2 포트로 출력하는 그래픽카드가 필요하다. 4k 해상도에서 게임을 돌릴 정도의 그래픽카드 성능도 요구된다. 4k 수요가 다시금 고성능 PC시장의 발전을 이끌 수도 있지만 이용자들이 현재 풀HD급에 만족할 가능성도 있다.

걱정되는 대목은 또 있다. 4k도 과도기일 수 있다는 것이다. 원래 UHD 규격 안에는 8k 해상도도 검토됐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가격을 비롯해 콘텐츠 등 조건들 때문에 4k 위주로 시장이 만들어져 가고 있는 게 요즘 분위기다. 1920×1080 해상도의 HD 규격으로 가기 위한 과도기로 1366×768의 HDTV가 스쳐지나가듯, 4k도 그렇게 잠깐 왔다 지나가는 것 아닐까 하는 우려도 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 왜 구부렸는지 알려주오

가장 이해가 안되는 것은 커브드 디스플레이다. 필름에 디스플레이를 성형하는 커브드 OLED 뿐 아니라 LCD 패널을 휜 모니터와 TV가 잇달아 선보였다. 스마트폰에서도 그랬지만 삼성과 LG는 “우리 디스플레이 이만큼 구부렸어요”라고 자랑을 늘어놓았다. 소비자들은 묻는다. “왜 구부렸어요?” 제조사들의 답이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주진 않는다. 새로운 시도를 한다는 정도의 답만 돌아온다.

SEC_curved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기술 자랑을 위해 구부린 것인지, 필요에 의해 구부러지는 디스플레이를 만들어낸 것인지가 모호하다. 굳이 용도를 찾아보자면 PC에 여러 대의 모니터를 연결해 게임을 한다면 비행기의 콕핏에 탄 것 같은 기분을 느낄 수도 있겠다. 일반적인 용도에서는 굳이 디스플레이를 구부릴 이유가 뭔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디스플레이 업체 내부에서도 ‘기술 과시용’이라는 의도를 굳이 감추지 않는다.

당연히 이 디스플레이들이 실험만을 위해 개발한 건 아니다. 휜 스마트폰처럼, 이 TV와 모니터들도 곧 시장에 나온다. LCD가 나오기 직전 2000년대 초반까지는 안쪽으로든 바깥쪽으로든 휘어 있는 것은 왜곡을 불러일으킨다는 이슈로 화면을 편평하게 만드는 것에 대해 치열한 논쟁이 일었던 게 디스플레이다. 가장 평면일 수밖에 없는 LCD 화면 대신 구부러진 화면을 다시 써야 하는 이유는 뭔가. 디스플레이 업계는 이 과제를 풀어야 시장을 열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기술의 발전이 반갑긴 하지만 그에 따르는 콘텐츠에 대한 고민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게임기나 PC는 이제서야 풀HD 해상도로 게임을 원활하게 돌리기 시작했고, HD방송 디지털 전환이 이뤄진 지도 얼마 지나지 않았다.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는 데는 얼마나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 결국 첨단 기술에 대한 생색은 냈지만 실속은 스스로가 아니라 적절한 순간에 기술을 받아쓰는 다른 업계가 챙길 수 있다. 필요에 의한 기술 개발 경쟁, 재미있긴 하지만 ‘왜’라는 의문과 ‘어떻게’라는 걱정이 공존한다.
최호섭 기자 allove@bloter.net
Posted by w우주z
,

"미디어·IT·콘텐츠 산업 지각변동"

중국 베이징의 중산층 밀집 지역인 차오양구 마뎬에 있는 궈메이 가전매장. 3층에 있는 TV 판매장에 올라가면 모든 가전업체 매장 한복판에 예외 없이 초대형(84~85인치) 초고화질(UHD) TV가 진열돼 있다. 풀HD TV보다 화질이 네 배 이상 선명해 영상이 거의 3차원(3D)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매장에는 각각 85인치와 84인치 제품만 전시돼 있다. 반면 중국 업체인 스카이워스 하이센스 캉자 창훙 등의 매장에서는 39인치부터 84인치까지 다양한 UHD TV를 볼 수 있다. 하이센스 매장의 84인치 UHD TV 가격은 9만9999위안(약 1845만원).

삼성과 LG 제품(약 24만~25만위안)의 40% 값이다. 디스플레이를 한국보다 싼 대만에서 공급받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하이센스 매장 직원은 “삼성이나 LG 제품보다 가격이 훨씬 싸다 보니 찾는 사람이 많다”며 “요즘 팔리는 대형 TV 10대 중 3대 정도는 UHD TV”라고 말했다.

UHD TV 시대가 열리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는 세계 UHD TV 시장 규모가 올해 93만대에서 3년 뒤인 2016년에는 987만대로 열 배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UHD TV 시장의 확대는 세계 최대 TV 시장인 중국에서 이미 시동이 걸렸다. 올해 세계 UHD TV 판매 대수의 70%에 달하는 63만5000대가 중국에서 팔릴 것이라는 예상이다.

시장조사기관인 AVC의 류촹 부장은 “중국은 TV 업체들이 혼전을 벌이고 소비자도 다기능 제품을 선호해 UHD TV 시장이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빨리 형성됐다”며 “가격이 빠른 속도로 떨어지고 있어 내년에는 본격적인 UHD TV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에서도 UHD TV 상용화 발걸음이 빨라졌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6월 발표한 ‘차세대 방송기술 로드맵’에서 케이블방송은 2014년, 위성방송은 2015년부터 UHD TV를 상용화하기로 했다. 올 4월 발표한 로드맵보다 상용화 시기를 6개월~1년가량 앞당겼다. 미래부가 상용화 시기를 조정한 것은 자칫 세계 시장에서 UHD TV 주도권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국에 밀려 고전을 거듭했던 소니 등 일본 전자업체도 UHD TV에 사활을 걸었다. 일본 정부는 차세대 방송기술 개발 예산으로 31억엔(약 347억원)을 책정해 지원 사격에 나섰다.

UHD TV가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높을 것이라는 점도 미래부가 적극 지원에 나선 배경이다. TV와 셋톱박스 부품 등 제조업뿐 아니라 플랫폼 콘텐츠 등 생태계가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이미 플랫폼인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 지상파방송뿐 아니라 영화·방송 콘텐츠 제작 업체들도 UHD TV 시대 준비에 나섰다.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만큼 C-P-N-T(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터미널) 전 산업에 걸쳐 혁신과 더불어 지각 변동이 일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해 6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UHD TV 해상도를 세계 표준으로 공식 인정했다. UHD TV 해상도를 4K 영상은 풀HD 영상 대비 4배, 8K 영상은 16배 선명하고 또렷한 해상도로 규정했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ITU의 세계 표준 인정에 따라 올해는 UHD TV 시장 생태계 조성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생태계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만들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세계 주요 방송사가 UHD TV 시대를 적극 준비하고 있어서다. 일본 NHK, 독일 스카이, 미국 다이렉TV 등 각국 주요 방송사가 UHD TV 서비스 계획을 잇달아 발표했다. 국내에서도 케이블과 위성방송, 지상파 방송이 시험방송을 했다.

 

변동식 CJ헬로비전 사장은 “3차 TV 혁명의 막이 올랐다”고 진단했다. 라디오에서 TV로 진화한 게 1차 혁명, 컬러 TV가 2차 혁명, UHD TV가 3차 혁명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3D TV, 인터넷 기능을 결합한 스마트 TV 등 기술 진화가 있었지만 진정한 TV 혁명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TV의 본원적인 가치인 화질이 혁신적으로 좋아진다는 점에서 UHD TV가 진정한 3차 혁명”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김태완 특파원/전설리 기자 twkim@hankyung.com

Posted by w우주z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