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컨셉
이 프로그램은 어쨌든 여기 목록에 올릴 운명이었던 것입니다. ^^; 노트북에 데스크탑 모니터를 붙여 쓰던 사람이 데스크탑을 쓰면 딸랑 그것만 갖고 만족할 리가 없쟎아요. 노트북 화면을 데탑용 2ndary 모니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 이 프로그램, MaxiVista 입니다.



노트북이나 넷북은 그 자체로도 좋지만 보조(서브) 모니터로 활용하기에도 적당합니다. 제 노트북은 최저 밝기, idle 상태에서 소비 전력이 13와트에 불과하며, 최대 밝기, idle 상태에서도 소비 전력은 16와트밖에 되지 않습니다( 소비 전력: DELL D410 노트북의 소비 전력 idle, full load ). 물론, 화소대비, 면적대비 소비 전력을 생각하면 전용 모니터보다는 많이 잡아먹는 셈이지만 그렇게 많지도 않습니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따라 두 컴퓨터에 역할 분담을 시킬 수도 있습니다. 데스크탑에서는 주된 작업, 노트북에서는 메신저, 이메일, 동영상을 맡길 수 있습니다.


MaxiVista (상용 프로그램)
URL: http://www.maxivista.com/testimonials.htm

맥시비스타는 세 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컴퓨터 두 대(A, B)가 랜으로 연결된 경우,
  1. 컴퓨터 B에 연결된 모니터를 A의 보조 모니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확장 기능.
  2. 컴퓨터 A의 화면을 컴퓨터 B의 화면에 뿌려줍니다. 복제(클론) 기능.
  3. 컴퓨터 A의 키보드/마우스로 컴퓨터 B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조작합니다. 원격조작기능.
    (이 때, 두 컴퓨터는 클립보드를 공유합니다. 즉, A에서 copy해서 B에서 paste할 수 있습니다)

MaxiVista는 상용 프로그램입니다. 이 점은 확실히 하고 넘어갑니다.
The demo version runs for 14 days after first installation or 50 program launches.
이런 프로그램은 아직 프리웨어로 비슷한 게 별로 없군요. 특히 1, 2번 기능.^^; 


그런데, MaxiVista의 기능 중 3번, 즉 원격조작기능이라면 꽤 많은 프로그램이 비슷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왜냐 하면, 이 기능은 다중 모니터 확장 기능으로 치지 않거든요. 원격 접속, 원격 제어, Remote Control... 윈도 터미널 서비스의 연장선상에서 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중에 이게 있습니다.

Synergy (시너지) 
(GPL을 따르는 공개 프로그램입니다)
URL: http://synergy2.sourceforge.net/

시너지는 노트북 모니터는 노트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노트북 모니터를 데스크탑의 진짜 확장 모니터처럼 속여 주지는 않습니다.

시너지는 컴퓨터 두 대가 랜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주로 사용하는 컴퓨터 A, 붙여 놓은 컴퓨터 B가 있다고 할 때,
A에 달린 키보드와 마우스를 가지고 B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다른 원격접속 프로그램과 다르달까 할 만한 것은,..(물론 그런 프로그램도 이 기능이 있기도 합니다)
이를테면, A의 모니터와 B의 모니터를 옆으로 나란히 두고,
A모니터에서 커서가 화면 오른쪽 끝으로 나가면 B모니터의 왼쪽에서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

네, 처음 보인 이 그림과 똑같이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클립보드도 공유합니다.
윈도, 맥OS, 리눅스를 모두 지원하므로, 세 OS를 쓴 컴퓨터를 다 붙일 수 있습니다.


별로 수확이 없네요. 좋은 프로그램을 찾으면 덧붙이겠습니다.

 

 

출처: http://pcgeeks.tistory.com/1260

 

Posted by w우주z
,

파일 찾기 (파일명 검색)


현재 디렉토리에서, pl 확장자를 가진 모든 파일 찾기

find -name '*.pl'


(현재 디렉토리 밑의 하위 디렉토리까지 다 찾습니다.)


루트에서부터, 즉 전체 하드에서, pl 확장자를 가진 모든 파일 찾기

find / -name '*.pl'




전체 하드 디스크에서, 파일명이 ab 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 찾기

find / -name 'ab*'




전체 하드 디스크에서, 파일명이 .bash 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 찾기

find / -name '.bash*'




전체 하드 디스크에서, 파일명이 .bash 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 찾기
+ ls 명령 형식으로 출력

find / -name '.bash*' -ls


뒤에 -ls 라는 옵션을 붙이면 됩니다.


디렉토리명 찾기


전체 하드 디스크에서, 디렉토리 이름이 et 로 시작하는 모든 디렉토리 찾기

find / -name 'et*' -type d

'프로그래밍언어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 기본설정  (0) 2013.07.03
Ubuntu에서 USB 마운트 하기  (0) 2013.06.17
makefile 관련 문법, 주의사항 및 팁  (0) 2013.04.30
파일시스템 mount 옵션 (/etc/fstab 설정)  (0) 2013.04.30
nfs 설정  (0) 2013.03.19
Posted by w우주z
,

PID 패킷 식별자

분야/Settop 2013. 5. 28. 11:29

PID 패킷 식별자 [-, packet identifier]

다중화 전송 흐름(TS) 내 패킷들에 부여된 각각의 식별자. 디지털 방송에서 여러 채널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전송로를 이용하여 전송할 때, 먼저 각각의 채널 신호를 독립적으로 압축하여 패킷화한 후, 이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TS 형태로 전송한다. 이때 어느 한 채널에 해당하는 패킷에 동일한 패킷 식별자(PID)를 부여하여 다른 채널의 패킷과 구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패킷들을 채널별로 구별하여 특정 ID 번호를 부여하여 전송하면, 수신기에서는 다중화된 TS에서 원하는 채널의 패킷만을 그 채널의 패킷 ID를 이용하여 선택(역다중화)하고 나머지 패킷들은 버리게 된다.

----간단하게 여러채널을 한중계기에 모아서 전송할때 각각의 채널의 영상과 음성을

위성 수신기가 구별 할수 있도록 ID를 부여 한것 입니다----------- 

물론 중계기에 한개 채널을 전송할때도 부여 됩니다

---그리고 카페에서 PID 입력한다는 말은 방송사가 비공개를 목적으로 PID를 암호화 하여

일반적인 위성 방송 수신기가 PID를 채널 검색시 자동으로 찾아 내지 못하게 한것을

다른 통로를 통해 알아내서 수동으로 입력 한다는 것입니다--------------

2. BISS ( Basic Interoperable Scambling System)

  Biss는 위성 방송 수신 제한 시스템의 일종으로 가장 낮은 단계의 스크램블 시스템이며

6자리나 8자리의 16진수 코드를 이용합니다   다채널 위성 방송의 시청자 수신제한이 목적이

아니라 대부분 방송사의 중계회선이나 방송사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대상에 대해서만

시청을 가능 하게 할 목적으로 이용 하는 가장 단순한 시청제한 암호화 시스템입니다

Biss에는 3가지 모드가 있으며 이를 방송사가 조정 합니다

1. Mode 0 : 스크램블을 걸지 않은 상태

2. MOde 1: 스크램블을 건 상태 6자리나 8자리 코드를 소프트 웨어적으로 입력 해주면

                  방송 시청 가능

3. Mode E : 스크램블이 걸린 상태이며 기본적인 구조는 Mode 1과 같으나 추가적인 암호코드를

                   입력 하여야 되는 방식

4.  아시아에서 이를 이용하는 위성 채널들은 러시아 Express am2/3, a2,Yamal 201

     그리고 무궁화 3/5호의 국내 채널들 그리고 Intelsat 등의 국내 방송 미주 나 유럽 중계

    회선 등입니다(러시아 채널들은 대부분 암호값이 같아서 대부분 현재의 암호로

     시청 가능 합니다 )

 

현재 국내에 시판된 수신기중 PID와 BISS를 모두 사용자가 입력 가능 하게 오픈된

수신기는 SKC-8000/1000과 아리온수신기(6자리입력)등이고

Yasta(중국산) 수신기는 PID만 수동 입력 됩니다

그럼 SKC-8000의 입력 화면을 올립니다(Yasta도)

Posted by w우주z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