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IT·콘텐츠 산업 지각변동"

중국 베이징의 중산층 밀집 지역인 차오양구 마뎬에 있는 궈메이 가전매장. 3층에 있는 TV 판매장에 올라가면 모든 가전업체 매장 한복판에 예외 없이 초대형(84~85인치) 초고화질(UHD) TV가 진열돼 있다. 풀HD TV보다 화질이 네 배 이상 선명해 영상이 거의 3차원(3D)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매장에는 각각 85인치와 84인치 제품만 전시돼 있다. 반면 중국 업체인 스카이워스 하이센스 캉자 창훙 등의 매장에서는 39인치부터 84인치까지 다양한 UHD TV를 볼 수 있다. 하이센스 매장의 84인치 UHD TV 가격은 9만9999위안(약 1845만원).

삼성과 LG 제품(약 24만~25만위안)의 40% 값이다. 디스플레이를 한국보다 싼 대만에서 공급받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하이센스 매장 직원은 “삼성이나 LG 제품보다 가격이 훨씬 싸다 보니 찾는 사람이 많다”며 “요즘 팔리는 대형 TV 10대 중 3대 정도는 UHD TV”라고 말했다.

UHD TV 시대가 열리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는 세계 UHD TV 시장 규모가 올해 93만대에서 3년 뒤인 2016년에는 987만대로 열 배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UHD TV 시장의 확대는 세계 최대 TV 시장인 중국에서 이미 시동이 걸렸다. 올해 세계 UHD TV 판매 대수의 70%에 달하는 63만5000대가 중국에서 팔릴 것이라는 예상이다.

시장조사기관인 AVC의 류촹 부장은 “중국은 TV 업체들이 혼전을 벌이고 소비자도 다기능 제품을 선호해 UHD TV 시장이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빨리 형성됐다”며 “가격이 빠른 속도로 떨어지고 있어 내년에는 본격적인 UHD TV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에서도 UHD TV 상용화 발걸음이 빨라졌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6월 발표한 ‘차세대 방송기술 로드맵’에서 케이블방송은 2014년, 위성방송은 2015년부터 UHD TV를 상용화하기로 했다. 올 4월 발표한 로드맵보다 상용화 시기를 6개월~1년가량 앞당겼다. 미래부가 상용화 시기를 조정한 것은 자칫 세계 시장에서 UHD TV 주도권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국에 밀려 고전을 거듭했던 소니 등 일본 전자업체도 UHD TV에 사활을 걸었다. 일본 정부는 차세대 방송기술 개발 예산으로 31억엔(약 347억원)을 책정해 지원 사격에 나섰다.

UHD TV가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높을 것이라는 점도 미래부가 적극 지원에 나선 배경이다. TV와 셋톱박스 부품 등 제조업뿐 아니라 플랫폼 콘텐츠 등 생태계가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이미 플랫폼인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 지상파방송뿐 아니라 영화·방송 콘텐츠 제작 업체들도 UHD TV 시대 준비에 나섰다.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만큼 C-P-N-T(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터미널) 전 산업에 걸쳐 혁신과 더불어 지각 변동이 일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해 6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UHD TV 해상도를 세계 표준으로 공식 인정했다. UHD TV 해상도를 4K 영상은 풀HD 영상 대비 4배, 8K 영상은 16배 선명하고 또렷한 해상도로 규정했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ITU의 세계 표준 인정에 따라 올해는 UHD TV 시장 생태계 조성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생태계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만들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세계 주요 방송사가 UHD TV 시대를 적극 준비하고 있어서다. 일본 NHK, 독일 스카이, 미국 다이렉TV 등 각국 주요 방송사가 UHD TV 서비스 계획을 잇달아 발표했다. 국내에서도 케이블과 위성방송, 지상파 방송이 시험방송을 했다.

 

변동식 CJ헬로비전 사장은 “3차 TV 혁명의 막이 올랐다”고 진단했다. 라디오에서 TV로 진화한 게 1차 혁명, 컬러 TV가 2차 혁명, UHD TV가 3차 혁명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3D TV, 인터넷 기능을 결합한 스마트 TV 등 기술 진화가 있었지만 진정한 TV 혁명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TV의 본원적인 가치인 화질이 혁신적으로 좋아진다는 점에서 UHD TV가 진정한 3차 혁명”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김태완 특파원/전설리 기자 twkim@hankyung.com

Posted by w우주z
,

“가족들만 볼 수 있게” 동영상을 비공개로 공유하는 법

2013.05.28

동영상 스트리밍은 동영상을 공유하는 쉽고 간편한 방법이지만, 때로는 이 영상을 봐야 할 사람을 통제해야 할 때가 있다. 고양이 동영상은 이 세상 누구나 봐도 상관 없지만, 술을 마시고 춤을 추는 영상 같은 것은 친구들과만 공유하고 싶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세 가지의 인기 있는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의 공개 설정 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경고: 모든 디바이스에서 비공개 설정된 동영상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서, 필자의 블루레이 플레이어는 비메오(Vimeo) 영상을 재생할 수는 있지만, 비밀번호로 보호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가능하다.

유튜브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리고 나면 전체 공개가 된다. 여기서 상단에 있는 동영상 관리자 버튼을 클릭한다. 동영상 목록이 나타나면 비공개로 돌리고 싶은 영상의 ‘수정’ 버튼을 누른다. 오른쪽의 개인정보 보호 설정을 원하는 데로 수정하면 된다.

공개 : 기본. 누구나 볼 수 있음.
미등록 : 인터넷 검색이나 유튜브에 링크가 표시되지 않는다. 다른 말로 하면, 사용자가 실제 URL을 제공하지 않는 이상 이 영상을 찾을 방법은 없다.
비공개 : 사용자가 초대한 사람만 동영상을 볼 수 있다. 최대 50명까지 초대할 수 있지만, 초대받을 사람들은 유튜브나 구글 계정이 있어야 한다.

페이스북
페이스북과 사생활은 그리 잘 어울리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방법만 알면 자신의 콘텐츠를 누가 보는지 통제할 수 있다.

페이스북에 동영상을 올리면 ‘공개’라고 써 있는 메뉴를 클릭해서 공개 설정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다.

비메오(Vimeo)
비메오에 동영상을 올리고 난 후, 프라이버시(privacy) 탭을 클릭한다. 여기서 ‘비밀번호를 아는 사람만(Only people with password)’를 선택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임베디드와 동영상 다운로드도 비활성화 할 것을 추천한다.

친구에게 이 동영상을 보여주고 싶으면, 동영상 URL과 비밀번호를 알려주면 된다. editor@itworld.co.kr


Posted by w우주z
,

stty -a 하면 정의된 문자를 볼 수 있습니다.

intr : 인터럽트 : 대부분 Ctrl-C
quit : 강제종료 : Ctrl-\
erase : 문자지우기 : Ctrl-H 
kill : 입력 라인 전체 지우기 : Ctrk-U
eof : end of file : ctrl-D
start : 터미널 출력 : Ctrl-Q
stop : 터미널 출력 중지 : Ctrl-S
susp : suspend (수행 중지) : Ctrl-Z

등등등 이런 것들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Ctrl-Z 되었으니.. 구동 중지하고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전환된 겁니다..
그리고 카운트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job number입니다.

명령프롬프트에서 jobs 명령을 수행하면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목록을 보여줍니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 fg %number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cat은 Ctrl-D를 만나면 종료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man bash로 확인하세요

'프로그래밍언어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터치패드, 마우스 설정  (0) 2013.10.14
virtualBox 공유 폴더 설정 (linux경경)  (0) 2013.10.11
chmod 권한 설정  (0) 2013.08.09
우분투 12.04 네트워크 설정 문제  (0) 2013.07.31
TFTP 설정  (0) 2013.07.03
Posted by w우주z
,